10억모으기

[10억모으기 2편] 막연한 목표보다는 현실적목표 세우기

행복한 100억자유인 2025. 2. 25. 12:22
728x90

 

[10억모으기 2편] 막연한 목표보다는 현실적목표 세우기

우리는 노후에 막연하게 얼마가 있어야겠다.

아니면 단순하게 현재 얼마쓰고 있으니 얼마까지 살수 있을 것이다 하며 엄청난 액수를 머리에 그리고 있을 것이다.

미래를 준비하는 방법을 모르니 당연히들 하는 실수이다.

 

어떻게 노후생활비를 계산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알려줄테니 나와 함께 지금부터 준비해 나가면 어떨까 한다.

늦을때가 가장 빠를때라는 이야기가 있지 않은가?

 

평균적인 노후 생활비

국민연금연구원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매월 개인은 165만원 부부는 268만원의 노후생활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각 가정마다 필요 생활비가 다르겠지만 적어도 이정도의 돈이 있다면 생활은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자 그럼 다음 단계로 필요 노후 생활비에 따른 필요 노후자금을 계산해 볼까요?

노후필요자금 계산하는 방법

필요 노후자금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1.1년생활비=한달생활비 x 12

2.필요노후자금=(1년생활비-국민연금 1년수령액-개인연금1년수령액-1년치 기타수익)*25

 

위의 식은 4%법칙으로 연 4%를 뽑아쓰면 평생 원금이 줄지 않고 돈이 늘어난다는 계산식이다.

기본적으로 연8~10%정도의 수익을 보는 투자상품에 투자하고 4%씩 뽑아쓰는 방식으로 물가상승에도 대응할수 있다. 해마다 투자수익이 복리로 늘어나서 뽑아쓸수 있는 돈도 늘어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는 차차 소개하도록 하겠으며 더 좋은 방법으로 발전시켜도 좋겠다.

필요노후자금을 계산해보도록 하자.

한달생활비가 300만원이라면 1년 생활비는 3600만원이 된다.

1년 생활비 3600만원에 25를 곱하면 9억이 된다.

부수적으로 더 들어가는 비용도 있으니 1년생활비를 4000만원으로 계산한다면 필요노후자금은10억이 된다.

그래서 사람들이 노후필요자금 10억을 많이 이야기 한다.

 

런데 정말 10억이 필요할까?

근로나 사업을 계속 하였다면 국민연금,irp(퇴직연금)정도는 불입하고 있을 것이다.

좀더 준비를 하는 분들은 연금저축,isa,주식투자,부동산 임대수익까지도 있을 것이다.

2번째 계산식대로 계산을 한다면 노후필요자금은 많이 줄어 들것이다.

 

돈은 복리로 불어난다.

연10%의 수익을 보는 투자처에 넣었다면 10억이 필요할때 2억5천만 넣으면 15년정도 지나면 10억이 된다.

만약 1억을 넣고 연10%수익을 계속 본다면 30년후에는 17억정도가 된다.

복리는 이렇게 시간에 비례하여 계속 늘어난다.

젊은 사람들은 적은 액수로도 오랜 시간에 투자하여 큰 자산을 만들어 갈수 있는 것이다.

투자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더 많은 투자비용이 들어가기에 하루라도 빨리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세계 5위 자산가 워렌버핏도 자산은 대부분 늦은 나이에 많이 불어 났다.

50세 3억달러,60세 42억달러, 75세 440억달러를 만들었고 17년간 510억달러를 기부했다.

50년동안 모은 돈의 10배이상을 10년동안 벌어 들였다.

현재 93세인 워렌버핏은 1220억 달러 자산을 가진 초거부가 되어 있다.

 

생활비외에도 더 나가는 비용이 꽤 있는 편이다.

여행,경조사비,의료비,문화생활비,취미,기타 비정기적지출이다.

개인 용돈 계좌를 따로 만들어 목표자산을 달성하면 매년 투자액의 4%만 뽑아쓰려고 한다.

 

목표자산까지 만들수 있는 나이는?

우리가 회사에 속하여 일할수 있는 나이와 저축할수 있는 돈은 제한적이다.

보통 일반 회사에서는 정년이 60세이지만 보통은 50세즈음에는 해고를 종용받는 경우가 많아진다.

그렇기에 회사에서 월급을 받아 얼마를 모을수 있는지 냉정히 생각해봐야 한다.

아무리 늦어도 국민연금을 받는 나이까지는 목표자산을 달성하는 것이 좋다.

평생 일만하다 죽을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대신 일하는 자산인 주식,부동산,각종자산에 투자를 하여야 한다.

 

몇년여동안 공부한 내용을 공유할 생각이며 같이 10억자산 만들기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복리는 8번째 불가사의다 - 아인슈타인

 

728x90